집값에 따른 취등록세와 다주택자일 경우 2023년 취득세율 중과에 대한 정보입니다.
6억이하, 6억-9억 이하, 9억 이상에 따른 취등록세가 다르며 1주택자와 2주택자, 3주택자 4주택법인에 따른 취득세 알려드릴께요
취등록세
취득세와 등록세를 아울러 이르는 말.
쉽게 말해 주택이나 재산을 매입할 경우 취등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집값에 따른 취등록세
취득가액에 따라 취등록세가 달라집니다
6억이하로 취득하였다면 취득세는 1%이며, 6억-9억 이하는 복잡합니다 수식을 이용해보셔요~
9억이상은 그냥 3% 취득세를 납부해야합니다.
취득가액 | 취득세율 |
6억이하 | 1% |
6억-9억이하 | (주택구입가 X 2 /3억) -3 |
9억이상 | 3% |
예를 들어 4억인 집을 매매하게 되면 1%인 4백만원이 취득세로 부과됩니다.
간단하게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를 이용해서 지방교육세와 농어촌특별세도 함께 알아보실수 있습니다.
보유주택수에 따른 취등록세
조정대상지역과 비조정대상지역으로 나뉘어지며 취등록세의 비율이 달라집니다.
조정대상의 1주택자와 비조정대상지역의 1,2주택자는 기본세율이 적용이됩니다.
조정대상지역의 3주택과 비조정대상지역의 4주택부터는 세율이 12%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예를 들어 주택구입비 1억당 1200만원이 세금으로 나가네요? 10억이라면 1억2000만원인셈이지요.
주택수 | 조정대상지역 | 비조정대상지역 |
1주택 | 기본세율 | 기본세율 |
2주택 | 8%(일시적 1가구 2주택 제외) | 기본세율 |
3주택 | 12% | 8% |
4주택 | 12% | 12% |
다주택으로 취득세를 계산하고 싶다면
위텍스 홈페이지 지방세정보 취득세를 눌러 미리 납부해야 할 취득세를 알아보실수 있습니다
2주택,3주택,4주택이상에 따른 금액을 농어촌특별세,지방교육세 실시간으로 추려볼 수 있어 아주 편하고 좋습니다.
취득세 란에 취득세에 대한 금액만 알 수 있습니다.
1. 4억인 집을 2주택이하일 경우는 취득세 4백만원, 지방교육세 40만원입니다.
2. 4억인 집을 3주택일 경우는 취득세 3천2백만원, 지방교육세 160만원입니다.
3. 4억인 집을 3주택일 경우는 취득세 4천8백만원, 지방교육세 160만원입니다.
주택취득가에 따른 취득세와 주택수에 따른 취득세율을 알아보았습니다.
'일상정보 쏠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수 계산기 18평 24평 32평 46평 제곱미터 환산하기 (0) | 2023.05.03 |
---|---|
글자수 세기 프로그램 제일 간단한 설치 방법 키워드 분석도 가능 (0) | 2023.05.03 |
키보드 자판 오류별 해결방법 (0) | 2023.05.01 |
운동 칼로리 계산기 다이어트에 도움되는 음식 (0) | 2023.05.01 |
2023년 손없는날 달력 손있는날 (1) | 2023.05.01 |